최근 최근 방송과 인터넷 유튜브 등을 통해 일부 암환자들이 개 구충제를 먹고 효과를 봤다는 후기가 공유되며 암환자분들이 희망을 품고 있는 개구충제(펜벤다졸 성분)의 항암효과 임상연구를 계획했던 국립암센터가 2주간 관련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연구할 가치조차 없다"고 판단하여 준비단계에서 연구를 취소했다고 뉴시스에서 보도하였습니다.
뉴시스 기사에 따르면(기사 일부 발췌)
김흥태 국립암센터 임상시험센터장은 동물이나 세포 단위로 진행됐던 연구 논문과 유튜브에서 인용된 자료들을 모아 임상시험 타당성 여부를 검토했다. 그 결과 동물 수준에서도 안정성이나 효과가 검증된 자료가 없다고 최종 판단했다. 김 센터장은 "유튜브에서 제일 괜찮다며 많이 인용된 논문도 검토해 봤는데 이것조차도 허접했다"고 말했다. 특히 펜벤다졸이 보이는 기전(일어나는 현상)이 의학적으로 큰 가치가 없다는 게 김 센터장의 분석이다.
말기 암환자들이 마지막 희망으로 품고있는 개구충제 펜벤다졸의 임상시험은 결국 하지 않는다것이 결론인데 국립암센터라는 국가기관이 임상연구를 시작하면 그 자체로 "효과를 기대"하는 암환자들이 늘어나고 국립암센터의 대외 이미지등을 고려한 판단일까요? 임상시험 타당성이 아니구 임상시험을 하지 않을 타당성을 연구한게 아닌가 합니다.
아버지를 암으로 잃은 저로서는 임상연구를 진행해서 정확한 정보를 기대했는데 결국 세계 최초로 사람을 대상으로 한 펜벤다졸의 임상연구 기회가 이렇게 허무하게 포기됩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9645677
'잡동사니 > 도란도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환경요금 분리부과 안내문을 보고.. (0) | 2021.01.08 |
---|---|
여름이면 피할수 없고 끝나지 않는 전쟁. 옥상 누수 셀프 방수 공사 네번째 이야기 (0) | 2020.09.29 |
타임(time)지 선정 2019 올해의 인물 :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 (0) | 2019.12.13 |
WHO(세계보건기구) 홍역으로 전세계 142,000명 사망 : 백신거부 확산 (0) | 2019.12.06 |
11월 9일 소방의날 맞아 삼성전자 소방관 구조용 열화상카메라와 통신장비 각 1,000대 기부 (0) | 2019.11.09 |
윈디닷컴 : 10월 31일~11월 첫주 미세먼지 (PM2.5) 주말까지 매우 나쁨 (0) | 2019.10.3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0월 25일 독도의날 맞아 독도 위성사진 배포: 우린 언제쯤이면 고화질 독도 사진을 다운로드 할 수 있을까? (0) | 2019.10.24 |
댓글